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파트·주택 전기 공사 전 꼭 알아야 할 접지 제도와 법규

by 볼리비아콜롬비아 2025. 5. 22.

아파트 및 주택 리모델링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접지 설비 기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접지 의무사항 등을 정리한 정보형 포스트입니다.

새로 집을 짓거나 리모델링을 계획 중이라면, 전기설비 중 '접지(Grounding)' 부분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접지는 감전과 화재 사고를 예방하는 핵심 안전장치이자, 전기설비 관련 법규에서 반드시 지켜야 하는 필수 항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의 접지 제도와 법규, 접지 대상, 설치 기준, 법적 의무사항 등을 정리해드립니다.

 

 

1. 접지 제도의 의미와 중요성

접지란 누설 전류, 정전기, 낙뢰 전류 등 위험 전기를 안전하게 지면으로 흘려보내는 장치입니다. 전기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체 감전, 기기 파손, 화재 등을 예방하는 기본적인 보호장치로, 220V 교류를 사용하는 국내 주택에서는 더욱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주택 전기 공사 시 접지가 필요한 상황을 설명한 인포그래픽
주택 접지

2. 관련 법규: 한국전기설비규정(KEC)

2021년 1월부터 시행된 한국전기설비규정(KEC, Korea Electrical Code)은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새로운 전기설비 기준으로, 그중 ‘접지’ 항목은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 고정형 전기기기(세탁기, 냉장고 등)는 반드시 접지할 것
  • 금속 외장을 가진 전기설비는 접지를 설치할 것
  • 고압 배선, 분전반, 차단기 등은 전기기술인이 접지 설계 후 시공
  • 건물 내 접지저항은 10Ω 이하로 유지할 것

 

 

3. 주택 및 아파트에서 접지가 필요한 경우

  • 신축 또는 리모델링 공사 시 전기배선 변경
  • 콘센트 추가 설치 또는 교체 작업 시
  • 전기차 충전기, 태양광 설비 설치 시
  • 고전력 가전제품 설치 시 (냉장고, 전자레인지, 에어컨 등)

기존 건물의 콘센트 대부분이 2구(비접지형)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3구 접지 콘센트로 교체하거나 별도의 접지공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4. 접지 공사 시 주의사항

  • 건축물 내 분전반으로부터 접지선 분기 필요
  • 금속 수도관, 금속 창틀 등에 비접지 상태로 전기연결 금지
  • 접지봉, 접지선, 접지저항 측정 등은 전기기술인 또는 전문기사가 시행
  • 공사 후 접지저항 값 기록 및 인증서 확보 권장

 

 

5. 접지 설비가 미비할 경우 발생 가능한 문제

  • 감전 사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등 금속 외장을 통해 전류 흐름 발생
  • 화재 위험: 누전 시 불꽃 방출 가능성
  • 기기 수명 단축: 정전기, 전압 변동에 취약
  • 전자파 간섭 및 노이즈: 스피커, 모니터에서 잡음 발생

 

 

마무리: 설계 단계에서부터 접지를 고려하자

접지는 전기설비의 옵션이 아니라 필수 요소이며 법적 의무사항입니다. 특히 리모델링, 증축, 전기차 충전기 설치 등 주요 전기 공사 전에는 반드시 접지 설계 여부를 검토해야 합니다. 접지 하나가 가족의 안전을 지키는 시작점임을 잊지 마세요.

댓글